2025 광주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방법 – 승용차 910만 원, 화물차 1,360만 원 지원
2025년 광주광역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이 시작됐습니다. 전기 승용차는 최대 910만 원, 화물차는 최대 2,70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신청 조건, 차량 기준, 우선순위, 충전소 위치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전기 승용차는 최대 910만 원, 화물차는 최대 1,360만 원, 어린이 통학차는 최대 1억 3,00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예산은 선착순으로 소진되며, 출고·등록 후 신청만 인정되니
보급 대수, 우선순위 조건 및 신청 절차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 차종별 보조금 요약
국비 580만 원 + 지방비 330만 원 + 우대 계층 최대 150만 원
→ 최대 910만 원
국비 1,050만 원 + 지방비 310만 원 + 우대 계층 최대 300만 원
→ 최대 1,360만 원
국비 1억 1,500만 원 + 지방비 1,500만 원
→ 최대 1억 3,000만 원
※ 광주는 계층 가산 혜택과 지방비 지원액이 높은 지역 중 하나입니다. 보조금은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으므로 빠른 신청이 필요합니다.
👀 이런 분들이라면, 지금 광주에서 신청하세요
단순히 ‘차를 바꾸고 싶다’는 이유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광주광역시는 아래와 같은 분들에게 특별 우선지원을 제공합니다.
✔ 전기 승용차 구매 시 최대 150만 원 추가 지원
✔ 청년 1인 가구도 단독 신청 가능
✔ 자녀 수 제한 없음
✔ 승용/화물차 모두 우선지원 대상
✔ 전기 화물차 구매 시 최대 1,360만 원까지 지원
✔ 경유차 폐차 후 전환 시 가점 부여
✔ 모든 차종에 계층별 가산금 지급
✔ 승용/화물/통학차 모두 해당 가능
※ 우선지원 대상은 중복 적용 가능하며, 최대 300만 원까지 가산될 수 있습니다.
또한 광주시는 전국 평균보다 지방비 부담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실질 체감 혜택이 더 큽니다.
📝 신청 절차 – 복잡하지 않습니다
전기차 보조금 신청은 차량 계약만 하면 끝이 아닙니다.
등록 → 신청 등록 → 출고 → 차량 등록 → 보조금 지급 순서로 진행되어야 하며, 신청 지연 시 예산이 소진될 수 있으니 빠른 진행이 중요합니다.
- 전기차 계약 체결
- ev.or.kr 시스템에서 판매 대리점이 보조금 신청 등록
- 광주시 심사 후 → 차량 출고 및 등록
- 보조금은 신청자의 계좌로 지급 (사후 지급)
✔ 신청일 기준 광주광역시에 90일 이상 거주해야 함
✔ 차량 변경 시 기존 신청은 무효 처리, 재신청 필요
✔ 보조금 신청은 출고 전 등록 완료 기준으로 심사됨
✔ 2년 이내 양도·폐차 시 보조금 환수 대상
🙋 자주 묻는 질문 (Q&A)
Q1. 광주 전기차 보조금은 누구나 신청 가능한가요?
A. 광주시에 등록된 주소를 가진 개인·법인 모두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보조금 지원 대상 차량을 구매하고 출고·등록을 완료한 경우에만 보조금 지급이 가능합니다.
Q2. 차량 출고 전 보조금 신청을 미리 해둘 수 있나요?
A. 아닙니다. 광주시는 출고 후 등록 완료된 차량만 보조금 신청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고 지연 시 예산이 소진될 수 있으므로, 계약 시점에 출고일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Q3. 보조금은 신청 후 언제 지급되나요?
A. 보조금은 보조금 신청 → 심사 → 확정 → 지급 절차를 거쳐 통상 1~2개월 이내에 지급됩니다. 서류 누락, 차량 등록 오류, 중복 신청 등 사유가 있을 경우 지연될 수 있습니다.
Q4. 보조금 신청 후 변경이 가능한가요?
A. 신청 후에는 차량·개인정보 변경이 불가합니다. 신청 전 반드시 차종, 명의, 계좌 정보를 정확히 확인한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요약정리
- 신청 자격: 광주광역시 90일 이상 거주자
- 지원 규모: 승용차 최대 910만 원, 화물차 최대 1,360만 원, 통학차 최대 1억 3,000만 원
- 절차 요약: 계약 → 신청 등록 → 심사 → 등록 → 계좌 지급
- 주의사항: 차량 변경 시 재신청, 2년 내 양도 시 환수
📣 Tip: 광주는 지방비+가산 혜택이 가장 강한 지역 중 하나입니다. 빠른 신청이 곧 혜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