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남양주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방법 – 승용 861만·화물 2,050만 원 지원
전기승용 최대 861만 원, 전기화물 최대 2,050만 원까지 지원!
청년·다자녀·소상공인 대상 가산 혜택 포함,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어 빠른 신청이 유리합니다.
📌 1. 남양주시 전기차 보조금 개요
2025년 남양주시는 전기차 전환을 위해 승용 최대 861만 원, 전기 화물차 최대 2,050만 원을 지원합니다.
신청 대상은 남양주시 1개월 이상 거주한 개인·법인·사업자이며, 차량 계약 후 2개월 이내 출고·등록이 가능한 경우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다자녀·소상공인 등은 최대 30% 추가 가산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어 빠른 신청이 유리합니다.
🚘 2. 차종별 지원금 (2025년 기준)
남양주시는 차종·크기에 따라 보조금이 달라집니다. 중·대형 전기승용과 소형 전기화물 외에도 초소형 전기차까지 지원하며, 차량 가격 8,500만 원 초과 시 보조금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차종 | 국비 | 시비 | 총 지원금 | 재지원 제한 |
---|---|---|---|---|
중·대형 전기승용 | 613만 원 | 248만 원 | 861만 원 | 2년 |
소형 전기화물 | 1,550만 원 | 500만 원 | 2,050만 원 | 5년 |
초소형 전기승용 | 200만 원 | - | 200만 원 | 2년 |
중형 전기승합(참고) | 5,000만 원 | 1,000만 원 | 6,000만 원 | 2년 |
🗓️ 3. 보급 물량 및 신청 일정
2025년 남양주시 전기차 보급 물량은 총 1,131대입니다.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 접수하며, 출고 2개월 이내 등록이 원칙입니다.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어 빠른 신청이 필요합니다.
- 접수 가능: 425대 (38%)
- 출고 잔여: 484대 (43%)
※ 출처: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Donut
차수 | 승용차 | 화물차 | 총합 | 신청 기간 |
---|---|---|---|---|
상반기 | 700대 | 200대 | 900대 | 2025.02.17 ~ 06.30 |
하반기 | 280대 | 51대 | 331대 | 2025.07.01 ~ 12.05 |
총합 | 980대 | 251대 | 1,231대 | - |
- 신청일 기준 남양주시 1개월 이상 거주
- 계약 후 2개월 내 출고 가능 차량
- 최근 동일 차종 보조금 수령 이력 확인 (승용 2년·화물 5년)
- 판매점에서 ev.or.kr 등록 대행 가능 여부 확인
🏅 4. 남양주시 우대 특혜
남양주시는 청년·다자녀 가정·소상공인·노후 경유차 폐차자에게 추가 가산 혜택을 제공합니다. 중복 적용 시 최대 4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국비 기준 20% 추가 지원
예: 승용 613만 → 122만 가산
2자녀 100만 · 3자녀 200만
4자녀 이상 300만 가산
화물차 국비 최대 30% 가산
배송·운송업 종사자 우대
2006년 이전 차량 폐차 시
우선 배정 + 환경개선 점수
💡 Tip: 청년 + 다자녀 + 소상공인 조건 충족 시 중복 가산 가능, 최대 400만 원 혜택!
📝 5. 신청 절차
- 차량 구매 계약
- 판매점에서 ev.or.kr 등록 대행
- 남양주시 심사·승인
- 출고·등록 완료
- 보조금은 제작사로 지급 → 구매가에 반영
- 계약 후 2개월 이내 출고 필수, 지연 시 보조금 취소 가능
- 승용 2년·화물 5년 이내 재지원 불가
- 예산 소진 시 해당 연도 접수 종료
❓ 자주 묻는 질문 (Q&A)
Q1. 남양주시 외 거주자는 신청 가능한가요?
→ 불가. 신청일 기준 1개월 이상 남양주시 거주자만 신청 가능합니다.
Q2. 화물차 지원금은 얼마인가요?
→ 소형 전기화물차 기준 2,050만 원 (국비 1,550 + 시비 500)입니다.
Q3. 재지원은 언제 가능하나요?
→ 승용차는 2년, 화물차는 5년 이내 보조금 수령 시 재신청이 불가합니다.
Q4. 출고 지연 시 어떻게 되나요?
→ 계약 후 2개월 내 미출고 시 보조금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Q5. 신청 후 이사하면 환수되나요?
→ 단순 전출은 환수 없음. 단, 2년 이내 양도·폐차 시 환수 대상입니다.
Q6. 예산 소진 시 대기 신청이 가능한가요?
→ 불가. 예산 소진 시 해당 연도 지원은 종료됩니다.
Q7. 다른 혜택과 중복 가능한가요?
→ 환경개선부담금 감면, 공영주차장 할인 등과 중복 적용 가능합니다.
- 승용 최대 861만 원 / 화물 최대 2,050만 원
- 총 보급 1,131대, 출고 2개월 내 등록 필수
- 청년·다자녀·소상공인 가산 혜택, 최대 400만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