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알트 불장에 미치는 영향 – 일봉 차트 기반 실전 전략
도미넌스(BTC.D) 일봉 흐름을 바탕으로 레짐(구간)별 전략과 ETH/BTC 크로스라는 두 가지 핵심 신호를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도미넌스, 자금의 흐름을 읽는 계기판
하락은 알트 분산 가능성, 상승은 비트코인 선호 강화 신호. 단, BTC 급락 동반 하락은 알트에도 악재일 수 있어 가격·거래대금·이벤트를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 일봉 차트


1. 레짐(구간) 별 행동전략 핵심
레짐 | 시장 상태 | 알트 특징 | 행동 가이드 |
---|---|---|---|
62% 이상 | BTC 우세·리스크 회피 | 알트 상대약세 | 알트 비중 축소, BTC/현금 확대 |
60~62% | 중립/전환 대기 | 섹터 국지 랠리 | 상대강도 상위 섹터 선별, 분할 접근 |
58~60% | 알트 우호 | 대형→중형 회전, 거래대금↑ | 분할 매수·분할 익절, 후발 섹터 관찰 |
58% 하회 | 알트 강세 가능성↑ | 광범위 상승 | 익절 규칙 선제 설정, 레버리지는 최소 |
2. ETH/BTC 크로스로 신뢰도 높이기 핵심
- ETH/BTC ↑ & 도미넌스 ↓ → 알트 우호 신호 강화
- ETH/BTC ↓ & 도미넌스 ↑ → BTC 주도장, 알트 관망
- ETH 7/20 EMA 골든크로스 + 거래대금 증가 → 알트 랠리 확률 개선
3. 유동성·온체인 보조지표
- 거시 유동성: 금리·DXY 완화 → 위험자산 우호
- 스테이블코인 시총: USDT/USDC 합계 증가 → 대기자금 유입
- 거래대금: 현물·선물 동반 증가 여부 확인
- 거래소 순유입: BTC 대량 입금↑는 하락 압력 가능
- 파생 포지션: 펀딩비 과열·롱숏 편향은 역행 리스크
4. 주간 이벤트 체크
- FOMC/금리·CPI·고용 등 매크로 지표 발표
- 대형 상장/메인넷/하드포크/언락 일정
- 규제·법안 표결/청문회 이슈
- ETF 자금 유출입 보고
5. 포지션 사이징 & 리스크 규칙
1일 ATR/가격 | 권장 레버리지 | 개별 코인 비중 | 손절 | 익절 |
---|---|---|---|---|
< 3% | 현물~1.5x | 8~12% | -4~6% | +10/20/30% 분할 |
3~6% | 현물~1.2x | 5~8% | -6~8% | +12/24/36% 분할 |
> 6% | 현물권장 | 3~5% | -8~10% | +15/30/45% 분할 |
※ 예시값. 이벤트 주간·저유동 코인에서는 레버리지 자제.
FAQ
Q1. 도미넌스만으로 타이밍 잡기 가능?
단독 지표로는 한계. BTC 가격·ETH/BTC·거래대금·이벤트와 결합 필수.
Q2. 알트 분산 몇 종목?
변동성 높은 장은 5~8 종목 내, 섹터 분산(예: AI·L2·게임) 권장.
Q3. 과열 신호?
펀딩비 과열·RSI 70~80·거래대금 급증 후 급감은 쿨다운 신호일 수 있음.
Q4. 58% 하회가 왜 중요?
과거에 알트 강세 확산의 트리거로 작용한 구간. 다만 BTC 급락 동반 시 무효화될 수 있음.
Q5. 어떤 차트를 함께 보면 좋아?
BTC.D · BTCUSDT · ETHUSDT · ETH/BTC를 한 화면에. 전환 신호가 선명해짐.
Q6. 손절·익절은 고정 수치로?
코인별 변동성(ATR)에 맞춰 구간형으로. 위 표 기준으로 퍼센트 밴드 설정 추천.
Q7. 이벤트 주간 운영?
포지션 경량화, 레버리지 축소, 발표 전후 1~2 캔들은 관망·재진입 원칙.
함께 보면 좋은 글
미국의 새 암호화폐 법안 3가지(2025) 이더리움 신고가 & 해외 전고점 분석 연준 금리인하 시 크립토 전략안내: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수치는 데이터 소스에 따라 소폭 다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