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더리움 전망, 업비트 최고가 600만원 돌파 후 강세 이어가나

by 웰스플로우 2025. 8. 14.
반응형

이더리움 전망, 업비트 최고가 600만 원 돌파 후 강세 이어가나

작성: 2025-08-14 · 국내 업비트 600만 원 돌파 · 해외 거래소 사상 최고가 임박 ·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반영

이더리움(ETH)이 국내 업비트에서 600만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고, 해외 주요 거래소에서도 최고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최근 7월 CPI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졌고, 블랙록 등 주요 기관의 ETF 자금 유입이 상승세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시세이더리움 가격이더리움 전망 이더리움 도미넌스업비트 이더리움바이낸스 이더리움

함께 보면 좋은 분석(비트코인): 비트코인 1억6천 돌파·CPI·금리 인하 기대

ETH/KRW 주봉 차트 (국내)

ETH/KRW 주봉차트(국내)

ETH/USD 주봉 차트 (해외)

ETH/USD 주봉 차트(해외)

CME FedWatch 9월 금리 인하 확률 캡처

CME FedWatch 9월 금리 인하 확률

1) 오늘 이더리움 시세 한눈에 — 국내/해외 비교

국내(업비트)
사상 최고가 돌파 완료. 거래대금·체결강도 우상향 유지 시 추세 강화.
해외(바이낸스/코인베이스)
역대 최고가 돌파 임박. 장중 변동성 확대 구간.
도미넌스
BTC 도미넌스 유지 시 알트 로테이션 지연 가능. ETH 강세 지속 시 알트로 확산 관찰.
김치/역프
환율·국내 수급에 따라 괴리 변동 → 체감가 영향. 거래소 간 가격 비교 필수.

2) 상승 동력 — 매크로·수급·기술

  • 매크로: CPI 하회 → 금리 인하 기대 강화. 달러·미국채와의 동조화 주시.
  • 수급(핵심): 미국 ETH 현물 ETF, 7거래일 연속 순유입. 8월 13일 하루에만 약 7억4,032만 달러(한화 약 9,750억 원) 순유입. 특히 블랙록 ETHA4억7,602만 달러가 들어오며 흐름을 주도. 피델리티 FETH, 비트와이즈 ETHW, 프랭클린템플턴 EZET, 그레이스케일 ETHE, 미니 ETH도 모두 순유입 기록.
  • 정책/기술: 규제 명확화 기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수수료·확장성) 이슈로 심리 개선.

* ETF·지표 수치는 발표·집계에 따라 변동. 표·그래프는 발표 직후 갱신 권장.

3) 단기 시나리오(해외 ATH 기준)

상황 가격/심리 체크포인트
돌파 확정 우호 거래량 동반 시 추세 연장, 목표가 갱신 돌파 캔들 종가 유지, 거래대금/미결약정 증가
박스권 횡보 모멘텀 조정·재정비, 변동성 축소 상단/하단 밴드, DXY·미국채 금리 동조화
상단 실패 후 눌림 경계 단기 조정 구간, 재진입 구간 탐색 최근 지지(예: 직전 박스 하단/20·50D 이평) 반응

4) 이후 전략 — 기간별 실행 가이드

  1. 단기(1일~1주): 추격보다 후행확인(돌파 종가 유지) 후 소량 추가. 이벤트(지표 발표) 전후 레버리지 노출 축소.
  2. 중기(1~3개월): 이벤트 캘린더(CPI·PPI·FOMC·고용)에 맞춰 현금 비중 탄력 조절. 상단/하단 구간에서 분할.
  3. 장기(연말): 현물 위주 DCA. ETH 비중 상한(총자산 X%) 설정, 환율·세금 고려.

5) 48시간 체크포인트

  • PPI·주간 실업수당 결과 → 금리 경로 기대 유지 여부
  • ETF 순유입/순유출 변화 (최근 7거래일 연속 순유입, 약 9,750억 원)
  • 해외 ATH 돌파 여부와 종가 유지
  • 환율(DXY)·미국채 금리 동조화 여부
  • 도미넌스 변화 → 알트 확산 신호 감지
  • 슬리피지·스프레드 확대(이벤트 전후) 주의

요약

  • 국내 ATH 돌파 완료, 해외 ATH 임박으로 방향성 주도.
  • CPI 하회·금리 인하 기대 강화 + ETH 현물 ETF 7거래일 연속 순유입(블랙록 ETHA 주도).
  • 돌파 종가 유지가 핵심. 실패 시 최근 지지선·이평 확인 후 분할 대응.

유의사항: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디지털 자산은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