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트코인 시세 급등! 원화 최고가 1억 6천 터치 - CPI 2.7% 하회·금리인하 94% 기대 속 이후 전략
작성: 2025-08-13 · 7월 CPI(전년비) 2.7%(예상 2.8↓), 전월비 0.2%(예상=0.2) / 근원 0.3% · 8월 14일 PPI·실업수당 발표 예정
CPI 하회·연준 신중 기조 속 비트코인 강세 지속… 상단 돌파 여부 주목
7월 미국 CPI는 전년비 2.7%(예상 2.8%↓), 전월비 0.2%(예상=0.2)로 확인. 근원 CPI는 0.3%로 목표(2%) 대비 여전히 높은 구간입니다. 시장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약 94%를 반영했고, 비트코인은 국내 거래소 기준 원화 최고가 1억6천만 원대 상단을 재차 테스트했습니다.
비트코인 시세비트코인 가격비트코인 전망 비트코인 도미넌스업비트 비트코인빗썸 비트코인
>
핵심 요약
7월 CPI | Headline YoY 2.7%(예상 2.8↓), MoM 0.2%(예상=0.2). Core MoM 0.3%. |
연준이 신중한 이유 | 근원 물가가 목표(2%) 상회, 관세·임금 등 2차 압력 리스크 → ‘확신 후 인하’ 기조. |
금리 인하 기대 | CME FedWatch 기준 9월 인하 확률 약 94% (실시간 변동). |
정책/연금 변화 | 401(k) 암호화폐 접근 허용 보도, 전략 비트코인 비축(EO) 등 구조적 수요/공급 변화. |
시장에서 지금 중요한 숫자들
지표 | 현재 관점 | 참고 |
---|---|---|
BTC/KRW 핵심 레벨 | 상단: 1억6,200~1억6,300 / 중단: 1억6,000 / 하단: 1억5,900 | 상단 종가 유지 시 추세 강화, 하단 이탈 시 단기 조정 |
BTC 도미넌스 | 강세 유지 → 알트 대세 전환 지연 | 도미넌스 하락 전환 확인 후 알트 로테이션 접근 |
김치/역프 | 환율·국내 체결강도에 따라 변동 | 국내 거래소 대비 해외 KRW 환산가 수시 체크 |
거래대금 | 상단 돌파 시 동반 확대 필수 | 거래대금 부족한 돌파는 페이크일 확률↑ |
BTC/KRW 일간 차트

CME FedWatch 확률

1) 오늘 비트코인 시세 — 국내/해외 비교
원화 기준
국내 거래소 1억6천 상단 재확인. 체결 강도↑, 상단 매물 소화 시 전고점 경신 시나리오.
국내 거래소 1억6천 상단 재확인. 체결 강도↑, 상단 매물 소화 시 전고점 경신 시나리오.
달러 기준
전고점 근접 구간. CPI 하회로 위험자산 선호 유지, DXY/미국채 동조화 관찰.
전고점 근접 구간. CPI 하회로 위험자산 선호 유지, DXY/미국채 동조화 관찰.
도미넌스
BTC 도미넌스 강세 유지 → 알트 로테이션 지연. 알트 불장은 도미넌스 하락 전환 확인 후.
BTC 도미넌스 강세 유지 → 알트 로테이션 지연. 알트 불장은 도미넌스 하락 전환 확인 후.
김치/역프
환율·내부 수급에 따른 괴리. 국내 체감가에 직접 영향 → 거래소 간 괴리 체크.
환율·내부 수급에 따른 괴리. 국내 체감가에 직접 영향 → 거래소 간 괴리 체크.
파생·온체인 심화 체크
펀딩비·OI
과열 구간에선 펀딩비 급등 + 미체결약정(OI) 급증 동반 → 급락 시 연쇄 청산 리스크.
전략: 이벤트 전후 레버리지 노출 축소, 현물·현금 비중 상향
과열 구간에선 펀딩비 급등 + 미체결약정(OI) 급증 동반 → 급락 시 연쇄 청산 리스크.
전략: 이벤트 전후 레버리지 노출 축소, 현물·현금 비중 상향
청산 히트맵
상단(1억6,200~1억6,300) 위쪽에 숏 청산대가 몰려 있으면 ‘윗꼬리+흡수’ 가능성. 하단(1억5,9xx) 언더에 롱 청산대 집중 시 스파이크 하방 경계.
상단(1억6,200~1억6,300) 위쪽에 숏 청산대가 몰려 있으면 ‘윗꼬리+흡수’ 가능성. 하단(1억5,9xx) 언더에 롱 청산대 집중 시 스파이크 하방 경계.
온체인 흐름
거래소 순유입↑는 공급 압력, 순유출↑는 보관/대기 심리. 장기보유자(LTH) 이동 확대 시 매도 압력 신호로 해석.
거래소 순유입↑는 공급 압력, 순유출↑는 보관/대기 심리. 장기보유자(LTH) 이동 확대 시 매도 압력 신호로 해석.
현물 vs. 파생 괴리
현물 프리미엄 없이 파생이 끌어올리는 장은 지속력이 약한 편. 현물 거래대금 동반 확대 확인.
현물 프리미엄 없이 파생이 끌어올리는 장은 지속력이 약한 편. 현물 거래대금 동반 확대 확인.
1-1) 정책·수급: 왜 상단을 계속 두드릴까?
현재 비트코인 시세는 1억 6,200~1억 6,300만 원 구간에서 반복적으로 상단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정책 모멘텀과 수급 구조가 결합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 정책 모멘텀: 401(k) 암호화폐 접근 허용 보도, 전략 비트코인 비축(EO) 등은 중장기 매수 기대를 강화.
- 수급 구조: ETF·기관 매집, 국내 환율 효과, 해외–국내 거래소 간 가격 괴리가 매수세를 자극.
- 저항선 소진: 상단 구간을 자주 두드리면 해당 구간의 매도 물량이 점차 소진 → 돌파 가능성↑.
- 심리적 효과: 상단 근접 시 투자자들이 “이번엔 돌파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짐 → 매수세 재유입.
차트상 반복되는 상단 시도는 ‘Breakout 예열’로 해석 가능하나, 거래량이 동반되지 않으면 다시 박스권 하단(예: 1억5,900만 원)까지 눌림이 나올 수 있습니다.
3) CPI 이후 단기 시나리오(8월 14일 PPI·실업수당 전)
상황 | 가격/심리 | 체크포인트 |
---|---|---|
상단 재돌파 우호 | 전고점 경신 시나리오 열림 | 상단(예: 1억6,200~1억6,300) 종가 유지 / 거래대금 동반 |
박스권 유지 | PPI·실업수당 대기, 방향성 보류 | DXY·미국채 금리와 동조화, 변동성 수렴 |
상단 실패 후 눌림 경계 | 단기 조정 → 재진입 포인트 탐색 | 하단(예: 1억5,900) 지지 / 20·50일선 반응 |
4) 이후 투자 전략 — 기간별 실행 가이드
- 단기(1일~1주): 추격 대신 후행확인. 상단 돌파 후 종가 유지 확인 시 소량 추가, 실패 시 1억5,9xx 재확인 후 분할. 이벤트일 레버리지 노출 축소.
- 중기(1~3개월): 이벤트 캘린더(CPI·PPI·FOMC·고용)에 맞춘 현금 비중 탄력 조절. 상단/하단 구간에서 분할매수·분할매도.
- 장기(연말): 현물 위주 DCA. 포트폴리오 BTC 비중 상한(총자산 X%) 고정, 환율·세금 고려.
실행 예시—숫자로 보는 분할 규칙
- 돌파 추세: 1억6,200 상단 종가 유지(+거래대금↑) 시 비중 +10~15% 추가. 실패 시 원위치.
- 눌림 재진입: 1억5,9xx 초기 지지 반등 확인 → 분할매수 3~4회(각 5%).
- 리스크 캡: 총 레버리지 노출 계정자산의 ≤20%, 1회 손실 ≤2% 룰 고정.
- DCA: 주 1회 정액 매수, 변동성 확대 주간엔 금액 +20%.
모든 비중/퍼센트는 개인 위험성향에 맞춰 조정하세요.
알트 대기 체크리스트(신고점 이후 로테이션 관찰)
도미넌스
BTC 도미넌스 하락 전환 + ETH/BTC 반등 확인 → 알트 로테이션 신호 강화.
BTC 도미넌스 하락 전환 + ETH/BTC 반등 확인 → 알트 로테이션 신호 강화.
김치프리미엄
과열(+) 구간 장기 지속 시 익절 선호↑. 급락 시 스프레드 급수축 → 슬리피지 주의.
과열(+) 구간 장기 지속 시 익절 선호↑. 급락 시 스프레드 급수축 → 슬리피지 주의.
ETH 트리거
ETH 해외 전고점 근접/돌파 + 거래대금 확대 → ETH 섹터·대형 알트 관심 구간.
ETH 해외 전고점 근접/돌파 + 거래대금 확대 → ETH 섹터·대형 알트 관심 구간.
섹터 강도
L2/인프라/디파이 등 섹터별 거래대금·상승폭 랭킹으로 순환 타이밍 포착.
L2/인프라/디파이 등 섹터별 거래대금·상승폭 랭킹으로 순환 타이밍 포착.
요약
- CPI 2.7% 하회, 금리 인하 기대는 유지되나 연준은 근원을 추가 확인 중.
- BTC/KRW 1억6,200~1억6,300 종가 돌파·유지 시 추세 강화, 실패 시 1억5,9xx 지지 재확인.
- 정책(401k·SBR)·ETF 수급은 중장기 우호 요인. 단기 레버리지는 이벤트 전후 노출 축소.
함께 보면 좋은 글
유의사항: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디지털 자산은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